커버드콜 ETF (Covered Call) 특징 | 장점 | 단점 | 국내 및 미국 TOP 10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커버드콜 ETF는 현재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수입을 받기 위한 월배당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커버드콜 ETF 특징과 장점, 단점, 국내와 미국의 대표적인 Covered Call Etf 살펴보겠습니다.

커버드콜이란?

커버드 콜 ETF란 주식 현물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이렇게 매도한 콜옵션에서 얻은 프리미엄은 투자자들에게 매달 분배금으로 돌아갑니다. 그래서 이런 ETF를 시장에서는 종종 ‘월 배당’ ETF로 불리게 되는 것입니다.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것에는 두 가지 큰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기초자산이 하락할 때는 옵션 매도 프리미엄이 손실을 완충해주는 점입니다. 때문에 투자자들이 상승장과 하락장 모두에서 일정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기초자산이 상승할 때는 수익률이 일정 수준으로 제한되는데, 이는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인컴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우량한 기초자산에 투자하고 높은 수준의 배당을 원하는 투자자들은 미국의 커버드콜 ETF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 S&P 500 ETF 종류 총정리 | SPY, IVV, VOO 수익률 등 차이점 비교 분석
📌 KODEX 미국반도체 MV ETF 390390 기대수익 전망, 장점, 단점, 수익률, 특징 총정리
📌 KODEX iShares 미국 인플레이션 국채 액티브 ETF 468370 기대 수익 전망
📌 KODEX iShares 미국 투자등급 회사채 액티브 ETF 468630 기대 수익 전망
📌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ETF 468380 기대 수익 전망과 장점

커버드콜 장점과 단점

커버드콜 ETF는 고배당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많은 경우, 옵션 프리미엄을 배당금으로 받아 연환산 10% 이상의 배당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ETF의 매력적인 수익률은 투자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입니다. 그러나 주의가 필요한 점은 배당수익률보다 더한 주가 하락으로 인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고배당에 매료되지만 그에 따른 위험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커버드콜 상품이 기초자산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기초자산의 상승에 제한을 두는 셈이 됩니다. 커버드콜은 기초자산 추종과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하여 수익을 합산하는 전략을 채택합니다. 이는 주가가 상승할 때 일부 동력을 배당금으로 지급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증시가 상승할 때 커버드콜 상품의 주가 상승이 일정 부분 막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커버드콜 상품은 주가 변동성이 높을 때 옵션 프리미엄도 함께 증가하여 배당금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와 같이 주가 변동성이 큰 기업의 경우, 해당 ETF의 배당수익률도 높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가 변동성이 감소하면 자연스럽게 배당금도 줄어들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증권가에서는 커버드콜 상품이 특히 시장이 횡보하거나 약하게 하락하는 구간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을 포함한 수익이 기초자산을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꾸준한 우상향 흐름을 보이는 기술주나 대표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콜옵션 매도로 얻는 수익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 시기에는 변동성이 낮아져 옵션 프리미엄이 줄어들어 배당금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버드콜 ETF는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는 시장 구간에서 트레이딩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즉, 커버드콜 etf는 장기 적립식 투자보다는 횡보하거나 하락하는 시장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커버드콜 상품은 증시 상승분을 일부 포기하게 되지만, 하락 시에는 옵션 매도 프리미엄으로 인해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채권 커버드콜 ETF의 출시 경향도 관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콜옵션 매도 비중을 조절하여 자본차익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는 콜옵션 매도 비중을 30%로 제한하고 나머지 70%는 미국 30년 국채 매수 포지션으로 노출함으로써 금리 하락 시 자본차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하방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지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콜옵션을 매도함으로써 주가 하락 폭을 제한할 수 있지만, 기초자산이 옵션 가격보다 큰 폭으로 하락할 경우 손실이 무한대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자산을 기초로 한 ETF의 경우, 현물이나 지수를 직접 추종하는 것보다 기관 간 스와프 계약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개별 계약의 수수료나 만기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투자할 때에는 이러한 사항들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국내 대표 커버드콜 ETF

  1. KB스타 코스피200 위클리 커버드콜(A153320)
  2. 삼성 코스피200 위클리 커버드콜(A153300)
  3. Tiger 코스피200 커버드콜ATM(A149670)
  4. Tiger 코스피200 커버드콜5%OTM(A149680)
  5. KB스타 코스피 위클리 자동매수(A153310)
  6. 삼성 코스피 위클리 자동매수(A153290)
  7. Tiger 미국나스닥100 커버드콜(합성)(A282210)
  8. KB스타 미국하이일드 위클리 커버드콜(A154390)
  9. 삼성 미국하이일드 위클리 커버드콜(A154370)
  10. Tiger 미국소형주 커버드콜(합성)(A282220)
✅ 국내 ETF 수익률 보기

미국 대표 커버드콜 ETF

  1. ProShares S&P 500 Covered Call ETF (PSCC)
  2.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QYLD)
  3. VanEck Merk Gold Covered Call ETF (OXY)
  4. iShares MSCI USA Min Vol Covered Call ETF (USMV)
  5. Invesco S&P 500 High Dividend Low Volatility Covered Call ETF (SPHD)
  6. First Trust Nasdaq-100 Covered Call ETF (QYLG)
  7. Nuveen S&P 500 Dynamic Overwrite ETF (SPOV)
  8. WisdomTree U.S. High Dividend Fund (DHS)
  9. ALPS Alerian MLP ETF (AMLP)
  10. Virtus InfraCap U.S. Preferred Stock ETF (PFFD)
✅ 해외 ETF 수익률 보기

📌 주식 급등주 찾기 | 주식 잘하는 방법 | 주가 급등 조건 및 이유, 원인
📌 우리나라 연령별 평균자산 평균재산, 중위소득, 평균소득은 얼마?
📌 가구별 순자산 상위 0.1%, 1%, 2%, 3%, 5%, 10%는 얼마?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방법 및 주의사항 | 양도세 불신고 시 불이익
📌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이론 – 예금, 주식, 채권, 부동산 투자 적정 시기 언제?
📌 솔라나 코인 (SOL) 가격 전망 | 시세, 호재 분석
📌 세이코인 가격 전망 및 호재 분석 2023년, 2024년, 2030년 가격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