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마이너스통장 특징 및 장단점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청년도약계좌의 단점이라면 바로 중도해지 시 불이익이 있다는 점입니다. 다행히 그 단점을 보완해줄 방법이 생겼습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 마이너스통장’의 도입입니다.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마이너스통장 개설조건이 다르니 하나하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마이너스통장 개설조건 및 사용법

📌 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 | 중도해지 불이익

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 신한은행은 ‘청년도약계좌’라는 적금 상품과 연계된 마이너스통장인 ‘마통’을 준비 중입니다. 청년들은 이 계좌와 연결된 마통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에 돈을 납입하는 과정에서 급전이 필요한 경우, 적금을 깨지 않고도 자금을 빌려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예적금담보대출 외에도 마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은 청년도약계좌 납입액에 따라 마통 한도가 자동으로 늘어나는 상품을 준비 중입니다. 예를 들어,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첫 달에 70만원을 납입하고 마통을 신청한다면, 70만원 한도의 마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 후에 두 달째에도 70만원을 납입하면 마통 한도도 140만원으로 자동으로 상향됩니다.

하나은행의 청년도약계좌 연계 마이너스통장 특징은 청년도약계좌의 만기(유지) 기간과 동일하며, 중간에 해지하면 해지일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마통의 금리는 예적금담보대출과 동일하며, 우대금리를 포함한 전체 청년도약계좌 적금 금리에 가산금리 1%포인트가 더해집니다. 하나은행의 청년도약계좌 기본금리는 4.5%이고, 저소득층에 대한 우대금리는 0.5%이며, 은행 판촉 우대금리는 최대 1%입니다.

마이너스통장 발급대상에 대한 글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마이너스 통장 발급대상 (ft.나도 쉽게 받을 수 있을까?)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청년도약계좌 마통은 자동으로 한도가 조정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은행 모두 일반적인 적금과 연계된 마통 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청년들은 청년도약계좌에 연계된 마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신한은행은 적금 납입액의 100%까지, 국민은행은 적금 납입액의 95%까지 마통 한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청년도약계좌 마통의 금리는 청년도약계좌 예적금담보대출 금리와 동일하며, 국민은행의 경우 예적금담보대출 금리에 추가로 0.5%포인트가 더해질 전망입니다.

📌 신용대출 vs 마이너스 통장 차이 비교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은 청년도약계좌와 연계된 마통을 출시할 계획이 없습니다. 이에 대해 농협은행 관계자는 “아직 청년도약계좌 자체도 출시되지 않아 현재로서는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 농협 마이너스통장 금리 및 한도

📌 국민은행 마이너스통장 금리 및 한도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와 마통 연계에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재 연구를 진행 중이며, 청년도약계좌와 마통 아이디어는 좋은 것 같다”면서 “예적금담보대출과 마통 외에도 청년도약계좌를 계속 유지할 경우 어떤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지 등 계좌 유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마이너스통장 개설이 어려울 경우 계획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초기에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가입 신청은 15일부터 시작되어 23일까지 7영업일 동안 76만1000명이 신청했습니다. 이는 예상된 총 가입자 수인 300만명 중 4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주요 과제는 청년들이 5년의 가입 기간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와 비슷한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2년 만기임에도 불구하고 가입자 중 4분의 1이 중도 해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