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1994년 첫 시행 이후 한국의 대학 입시 제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매년 수십만 명의 수험생이 응시하는 이 시험은 학생들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관문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수능의 역사는 다양한 논란과 사건들로 얽혀 있으며, 매년 변화하는 응시자 수는 한국 교육의 트렌드를 반영합니다. 이 글에서는 역대 수능에서 발생한 주요 논란들과 함께 접수자 수 및 응시자 수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역대 수능 논란
부정행위 적발 사례
2005학년도 수능에서 사상 최초로 대규모(36명 입학 취소) 부정행위가 적발되었습니다. 이후 초소형 카메라를 장착한 컨닝용 샤프 문제로 인해 2006학년도부터는 수능 샤프를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매년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 소지로 인한 부정행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사례로, 학생은 휴대폰을 챙기지 않았는데 부모님이 걱정되어 가방에 넣어 부정행위로 적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탐구 영역에서 선택 과목 순서를 지키지 않거나 다른 과목의 시험지를 꺼내는 부정행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7학년도 수능에서는 스마트폰 소지로 8명이 부정행위 처리되었습니다. 2013년부터는 스마트 워치 등 새로운 전자기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2017학년도부터는 모든 전자식 표시부가 있는 시계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2020학년도에는 현역병이 선임의 부탁을 받아 대리 수능을 치른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대리 시험을 부탁한 선임병은 인서울 대학에 합격했으나, 사실이 밝혀져 자퇴하고 징역 1년의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
✅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정신적 외압 · 비관에 의한 자살
매년 수능 후 자살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뉴스에 나오는 것은 매년 한두 명 정도지만, 실제 자살 인원수는 훨씬 많다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수능 성적이 후에 공개되었을 때 충분한 점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관하여 극단적 선택을 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일반대 최상위권 성적이 나왔지만 의사가 되고자 하는 꿈을 접어야 해서 자살한 학생, 4수 끝에 또 떨어져 군대에 가게 되어 사관학교 출신 장교의 꿈을 접어야 해서 자살한 학생 등 다양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모든 생명은 소중합니다. 당신의 삶은 아름다워요.
복수 정답 사태
간혹 복수 정답 논란이 발생합니다. 이는 문제의 모호성이나 오류로 인해 발생하며, 때로는 법적 소송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검토 위원 사망 사고
2012학년도 수능 준비 중 직업탐구 영역 검토 위원으로 수감되었던 교사가 수감 중 심장마비로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고의 예우로 장례를 치러줄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 사건 이후, 사망한 교사가 머물던 호텔 호실 번호의 뒤쪽 두 자리 숫자가 ’01’이었기 때문에, 그 뒤로 1호실은 출제위원 숙소로 쓰지 않는다는 금기가 생겼다고 합니다.
시험 이후 탈선 행위
과거에는 수능 후 큰 정신적 압박에서 해방된 학생들의 음주나 난동이 급증했습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2009년부터 경찰청에서 수능 이후 고등학생의 음주 행위를 엄격히 단속하기로 발표했습니다.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탈선 행위는 많이 감소했습니다.
✅ “수능 끝났다고 탈선 안돼요”…경찰, 홍대 등 번화가 선도활동
수능 연기 사태
1993년 시행된 첫 수능 이후 총 4번의 연기가 있었습니다. 2005년에는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해 2006학년도 수능이 일주일 연기되었습니다. 2010년에는 G20 정상회담으로 2011학년도 수능이 일주일 연기되었습니다. 2017년에는 포항 지진으로 인해 2018학년도 수능이 수능 바로 전날 연기 발표되어 ‘예고되지 않은 첫 긴급 수능연기’였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면서 2021학년도 수능이 12월 3일로 2주 연기되었습니다.
수능 성적 사전 유출 사건
2020학년도 수능에서 312명의 학생들이 성적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었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서 기존 수능 응시자가 2019에서 2020으로만 바꾸면 누구나 쉽게 확인 가능했습니다. 이는 재수생들에게만 가능했으며, 정확한 성적으로 정시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형평성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이미 2년 전에 국민신문고를 통해 제보되었으나 정부에서 문제를 인식하고도 방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 수능성적: 교육부 ‘2020학년도 수능 성적 사전 유출 확인’…어떻게 가능했나?
시험시간 4분 박탈 사건
2020년 12월 3일 서울 강서구의 덕원여고에서 시험 종료 알림이 예정된 시간보다 2분 일찍 울렸습니다. 그러나 수험생들에 따르면 실제로는 4분이 박탈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뒤늦게 감독관들이 2분의 추가시간을 줬지만, 학생들은 시험지를 돌려받는 데 시간이 소요되어 실제로 문제를 푼 시간은 2분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수험생은 680명에 달했습니다. 2020년 12월 5일 KBS 보도에 따르면, 일부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교육청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일생 좌우하는 수능, 종 4분 일찍 울렸다는데…”보상계획 없다”
감독관의 직접적인 시험 방해 사건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공통+선택 과목 체제의 국어 시험에서 감독관이 수험생들에게 선택 과목부터 풀라고 강요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매뉴얼에는 이러한 지시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감독관은 자신의 말에 따르지 않는 수험생의 시험지를 강제로 젖혀 선택 과목부터 풀도록 강압적으로 위압을 주었습니다. 이는 시험을 직접적으로 방해한 심각한 사건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감독관 방해로 수능 망쳤다”…대구교육청 “감독관 실수 확인”
생명과학II 성적 통지 보류 사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생명과학II 과목의 20번 문제에 오류가 있다는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평가원은 initially 해당 문제에 오류가 없다고 발표했으나, 이 문제는 결국 행정소송으로 이어졌습니다. 소송 과정에서 스탠퍼드 대학교의 조너선 프리차드 석좌교수는 해당 문제의 오류가 명백하고 문항 자체가 모순이라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한국유전학회에서도 문제 자체에 모순이 있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결국 2021년 12월 9일 서울행정법원이 수험생 소송인단이 제기한 정답 결정처분 집행정지 가처분신청을 인용하면서 수능 역사상 특정 과목의 성적 통지가 보류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최종적으로 법원은 전원정답으로 처리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 평가원 “수능 생명과학Ⅱ 응시생들에 성적 통지 보류”
시험 시작시간 5분 지연 사건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2022년 11월 17일 전북 남원시에 위치한 여고에서 1교시 국어 영역 시험이 5분 지연되어 시작되었습니다. 감독관이 반입 금지 물품 수거와 신원 확인을 하다가 본령을 듣지 못해 발생한 사건이었습니다. 한 수험생이 본령이 울렸다고 말한 후에야 시험이 시작되었고, 이후 수능 상황실과 협의 후 2교시 종료 후 국어 영역 시험지를 나눠주고 5분간 추가로 풀게 했습니다.
✅ 시작 종 놓친 감독관→1교시 5분 늦게 시작…2교시 후 추가시험 논란
영어 듣기평가 지연사건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2022년 11월 17일 전남 화순군 화순고등학교에서 방송에 문제가 생겨 오후 1시 7분 듣기 안내방송이 운동장으로 송출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감독관들의 상의 끝에 독해 문제부터 풀라고 지시했고 오후 1시 53분에 듣기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학교 측은 시험 종료 후 4분의 시간을 더 줬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수험생들은 학교 측의 미비한 대응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었습니다. 이에 대해 화순 도 교육청 측은 메뉴얼대로 했다는 식의 답변을 해 추가적인 논란을 야기했습니다.
✅ [손배] “방송사고로 수능 영어 듣기평가 44분 지연 불구 국가에 배상책임 없어”
연도별 수능 현황
학년도 | 접수인원(명) | 응시인원(명) | 응시율 |
1994 | 742,668 | 716,326 | 96.5% |
750,181 | 726,634 | 96.9% | |
1995 | 781,749 | 757,448 | 96.9% |
1996 | 840,661 | 809,867 | 96.3% |
1997 | 824,374 | 795,338 | 96.5% |
1998 | 885,321 | 854,272 | 96.5% |
1999 | 868,643 | 839,837 | 96.7% |
2000 | 896,122 | 868,366 | 96.9% |
2001 | 872,297 | 850,305 | 96.5% |
2002 | 739,129 | 718,441 | 97.2% |
2003 | 675,922 | 655,384 | 97.0% |
2004 | 674,154 | 642,583 | 95.3% |
2005 | 610,257 | 574,218 | 94.1% |
2006 | 593,806 | 554,345 | 93.4% |
2007 | 588,899 | 551,884 | 93.7% |
2008 | 584,934 | 550,588 | 94.1% |
2009 | 588,839 | 559,475 | 95.0% |
2010 | 677,834 | 638,216 | 94.2% |
2011 | 712,227 | 668,991 | 93.9% |
2012 | 693,631 | 648,946 | 93.6% |
2013 | 668,522 | 621,336 | 92.9% |
2014 | 650,747 | 606,813 | 93.2% |
2015 | 640,621 | 594,835 | 92.9% |
2016 | 631,187 | 585,332 | 92.7% |
2017 | 605,987 | 552,297 | 91.1% |
2018 | 593,527 | 531,327 | 89.5% |
2019 | 594,924 | 530,220 | 89.1% |
2020 | 548,734 | 484,737 | 88.3% |
2021 | 493,433 | 421,034 | 85.3% |
2022 | 509,821 | 448,138 | 87.9% |
2023 | 508,030 | 447,669 | 88.1% |
2024 | 504,588 | 444,870 | 88.2% |
결론
수능은 지난 30여 년간 한국 교육의 중심에 서 있었습니다. 다양한 논란과 사건들은 수능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으며, 이에 따라 시험 체제와 관리 방식이 꾸준히 변화해 왔습니다. 한편, 접수자 수와 응시자 수의 변화는 학령인구 감소, 대학 입시 정책 변화, 사회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합니다. 앞으로도 수능은 한국 교육의 주요 이슈로 남을 것이며, 공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입니다. 동시에, 급변하는 사회에 맞춰 수능의 역할과 형태도 지속적으로 재평가되고 조정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역대 수능 표준점수 원점수 백분위 | 난이도 난도 | 불수능 물수능
📌 2025 수능샤프 | 구매 방법 | 역대 수능샤프 비교 분석
📌 2025 수능 응시자수 | 재학생 및 재수생 수 | 비율